|
| |
|
네이버 한자사전에서 검색하시면 필순까지 아주 잘 나와 있답니다.
|
간체자(簡體字) |
 | |
훈음 |
: |
농사 농 |
부수 |
: |
(별진 部) |
난이도 |
: |
중학용 한자, 한자능력검정 7급 (쓰기 : 6급) |
|
辰(신)은 토지(土地)를 경작하는 데 쓰는 기구, 조개 껍질로 만든 것과 石器(석기)로 된 것이 있음. 又(우)는 손(止지☞발로 쓰는 것도 있음), 이들을 합친 辱(욕☞농사일을 하는 모습)과 음(音)을 나타내는 田전ㆍ동(절구구변(臼☞절구)部의 一을 뺀 글자+돼지해머리(亠☞머리 부분, 위)部+凶→농은 변음(變音)☞풀을 벤다)으로 이루어짐. 풀을 깍다. 전(轉)하여 농업이란 뜻으로 되었음 |
農(농) 농업(농사(農事))ㆍ농민(농부)의 뜻을 나타냄 農伽陀(농가타) 중국(中國) 후주(後周)의 중. 신라(新羅) 24대 진흥왕(眞興王) 37(576)년에 비마진체와 같이 신라(新羅)에 들어와, 외국(外國)의 중으로서는 처음으로 불교(佛敎)를 전파(傳播)함 農家(농가) ①농사(農事)를 본업으로 하는 가정(家庭), 농사(農事) 짓는 사람의 집 ②중국(中國) 춘추(春秋)ㆍ전국(戰國) 시대(時代)에, 임금이나 신하(臣下)가 모두 농경에 종사(從事)하여야 함을 주장(主張)하는 학파(學派) 農家月令歌(농가월령가) 농가(農家)에서 할 일을 달의 순서(順序)에 따라 읊은 노래. 근세(近世) 조선(朝鮮) 광해군(光海君) 때에 고상안이 지었다는 설과 현종(顯宗) 때에 정 학유가 지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음 農歌(농가) '농부가(農夫歌)'의 준말 農歌集成(농가집성) 조선(朝鮮) 시대(時代) 16대 인조(仁祖) 때에 신 속(申洬)이 엮은 권농 서적(書籍). 4대 세종(世宗)의 명으로 엮은 『농사 직설(農事直說)』, 주희(朱熹)의 권농문(勸農文), 세조(世祖) 때 강희맹(姜希孟)이 지은 『금양잡록(衿陽雜錄)』 『사시찬요(四時纂要)』를 모은 책. 효종(孝宗) 6(1655)년 출판(出版). 1책. 목판본(木版本) 農監(농감) 땅임자를 대신(代身)하여 소작인(小作人)을 지도(指導), 감독(監督)하던 사람. 농사(農事) 짓는 일을 보살핌 農車(농거) 농사(農事)를 짓는 데 쓰는 수레 農耕(농경) 논밭을 갈아 농사(農事)를 짓는 일 農耕期(농경기) 농사(農事)를 짓는 시기(時期)
|
독음 |
: |
농부 |
난이도 |
: |
중학용, 중학용 한자능력검정 7급, 7급 (쓰기: 6급, 6급) |
|
파생어, 관련어 |
|
農夫歌 (농부가) 농부(農夫)들이 즐겨 부르는 일노래들. 모내기와 김매기 따위에 부르던, 조선(朝鮮) 때의 한 가사(歌辭). 지은이와 지은 때를 모름 農夫症 (농부증) 오랫동안 농사(農事)에 종사(從事)한 사람들이 갖는 병적(病的) 증세(症勢). 어깨가 쑤시고 머리가 무겁고 아프며 쉬 늙고 어질증, 권태감(倦怠感) 등(等)이 있으며 귀가 울고 시력(視力)이 줄어드는 따위 農夫漢 (농부한) 농부꾼(農夫-)
|
이자동음어 음은 같으나 한자가 다른 단어들 |
|
農婦 (농부) 농사일(農
|
 |
|
등록일 : 2007-05-07 |
| | | | | | |
|
農事- 농사(농사 농, 일 사)
農夫- 농부( 농사 농, 사내 부)
이렇게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
| |
|
|
글쓴이 : jinbijing
|
 |
|
등록일 : 2006-11-10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