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안)불가산 명사 앞에 a (an) 불이지 않는게 원칙 (예외는 있음)
the붙여도 상관없지만 정관사 the의 규칙에 따라서 붙일 때는 붙이고 ......
불가산 명사중 물질명사를 셀 때는 조수사(세는 것을 돕는 말)를 써서 셈니다.
a cup of water (더운물 한 컾) two glasses of water (찬물 두 컵)
(또 집합적 물질명사라고 furniture, clothing 등도 조수사로 셈니다.)
two furnituires (X) ------> two pieces of furniture
I ate bread. (O) 그냥 밥 안먹고 빵먹었다는 뚯이면 하지만 얼마나 빵을 먹었는지 말하려면
I had (ate) two slices(loves, lumps, pieces, grams, kilograms) of bread. 하시면 됩니다.
가산명사(Countable Noun: C) 불가산명사 (Uncountable Noun: U or UC)
자세히 설명하자면 또 길어지니까 간단히 중요한 것만 정리하면
가산 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이니 문법적으로 단수이면 a (an)울 복수이면 뒤에 -s (es)룰 붙일 수 있는 것이 원칙(우선 원칙이 무엇인지를 꼭 알아두는 습관을 들이세요)
불가산 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이니 a (an), -s(es)가 붙지 않는 것이 원칙
(참고: 정관사 the 는 가산이냐 불가산이냐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정관사를 붙여야 하는 정관사의 법칙 즉 서로 알고 있는 것, 유일한 것, 뒤에 수식어로 한정되어 정해진 명사 앞에는 the 가 붙는 것이 원칙)
아주 아주 중요한데 많은 선생님들이 잘 모르는지 아니면 당연히 알거라고 생각하시는지 강조를 안하시는 것은......
단수 보통명사가 관사없이 오면 틀려!! 다시 한번 단수 보통명사가 관사 없이 오면 틀려!!
또 한번 강조합니다. 단수 보통명사가 관사 없이 오면 틀려용오 오 옷!!
(조금 수준이 되는 분은 관사보다는 한정사라고 고쳐야 한다는 것을 알겠지만 --- 한정사의 예: 소유격, 관사, 지시형용사, 그리고 no, each, every, some, any 등입니다. 어떤 것을 써야 할지 잘 모르겠으면 소유격을 사용하면 안전하고 또 여기 미국인들이 소유격을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면
그냥 book 이라고 하는 영어는 없다.!
즉 a book (O), the book (O), books (O), the books(O) 이지만 그냥 book (X) 하면 틀려요.....오늘 부터 책이던 신문이전 잡지던 book 이라는 단어가 그냥 혼자 온게 있는 지 찾아보아요!!
자 그러면 school 은 어떨까요? 이젠 사전을 보는 수준이 달라져야 합니다.
사전에 보면 school (C) 즉 가산명사인 경우는 "학교(건물)" 의 뜻인데 왜냐면 구체적인 학교는 물리적으로 셀수 있으니까 (예: 우리동네 학교가 몇개 있냐?) 하지만 (U or UC)인 경우 즉 불가산 명사인 경우는 "수업"이라는 추상적인 의미를 갖고 있어요 그러니까 school 은 자신이 가산명사도 불가산 명사도 되니 만약 관사(한정사)없이 school 하면 수업이란 뜻이지요.
그다음에 명사의 성질에 따라 명사를 5가지로 분류하지요 즉
보통, 집합, 고유, 물질, 추상 명사로 말입니다.
위의 가산 불가산의 분류와 합치면,
가산명사: 보통 명사, 집합명사 ( 군집명사는 예외가 있지만 나중에......)
불가산명사: 고유, 물질, 추상 명사
마지막으로 명사의 전용이라는 것이 있는데 예를 들어 보통명사면 항상 보통명사로만 쓰이는게 아니고
추상명사화해서 쓰는 것, 또는 반대로 추상명사를 보통명사화 해서 쓰는 것 등이 있어요 요약하면
고뮤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 :
방법: 보통명사처럼 쓰면 됨 (즉 a(an), -s(es) 를 안붙이는게 원칙인데 붙여 쓰라) 그럼 뚯이 좀 달라져요
예: 고유명사 Piccaso 화가 피카소----> a Piccaso 피카소가 그린 작품
물질명사 light (어둥의 반대인 빛 혹은 밝음 전체) -----> a light (멀리보이는 한 물빛, 천장의 전등)
추상명사 beauty (아름다움) ------>a beauty (미인)
보통명사의 추상명사화
방법: the + 단수 보통명사 (대부분 추상명사화로 쓴 경우는 드물다. 즉 정관사 법칙만으로 쓴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혹시 다음과 같이 해석이 잘 안되는 경우가 그렇고 요즘 현대 영어에서는 별로 없는 듯)
셰익스피어 작품 등에서
He forgot the judge in the father. "그는 아버지 속에서 판사를 망각했다 (?)"
이상한 이유는 아버지와 판사라는 명사가 추상화 되어서 ......
상황이 판사인 아버지가 죄인이 아들인 재판을 하는 상황에서 "부정(아버지의 정) 때문에 판사의 직분을 망각했다"로 해석이 되는 문장
마지막으로 아까도 말했듯이 원칙이 무엇인지는 꼭 알고 있어야 하구요
하지만 여기 미국 현지인들은 이런 이야기 하면 무슨 이야기인지 하나도 몰라요 그런데도 우리는 알고 잇는 현실이 슬프게 느껴지지 모르지만 거꾸로 여기 사람들이 대학 그것도 언어학 중 통사론을 전공하는 사람들만이 알고 있는 지식을 우리 국민 모두가 알고 있다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가 하고 자부심을 가지세요.
근데 말할 때는 신경쓰지 말고 막 말하고요 글을 쓸 때만 신경을 좀 써요!!!!
@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a*@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