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사의 비교
1. 원급, 비교급과 최상급의 형태
독일어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은 원급에 각각 -er, -st를 붙인다
|
원 급 |
비교급 |
최상급 |
형용사 |
------- |
------er |
------st |
이 공식을 이용한 비교급과 최상급의 예문은 다음과 같다.
klein(작은) - kleiner (더 작은) - kleinst (가장 작은)
hell - heller - hellst
schön - schöner - schönst
하지만 다음과 같이 형용사가 1음절(모음이 하나)인 경우 비교급과 최상급에서 보통 변모음한다.
alt - älter - ältest
lang - länger - längst
jung - jünger - jüngst
영어의 경우 형용사가 2음절이 되면 형용사 앞에 more나 most를 붙여서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드는데, 독일어에서는 형용사가 길어도 그냥 -er, -st만 붙인다. 하지만 독일어도 형용사 앞에 viel 의 비교급인 mehr를 붙여 "보다 많이", 그리고 wenig의 비교급인 weniger를 붙여서 "보다 덜 ∼하다"라는 뜻을 표현할 수는 있다.
wichtig - weniger wichtig
fleissig - weniger fleissig
몇 개의 형용사는 다음과 같이 비교급과 최상급에서 불규칙적인 형태를 취한다. wenig의 비교급과 최상급은 보통 -er, -st를 붙여 만드는데, 가끔 minder, mindest 의 형태를 쓰기도 한다. gross는 최상급에서 -t만을 붙인 것이 특이한 점인데 이는 s의 중복 충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gut - besser - best
viel - mehr - meist
wenig - weniger - wenigst
wenig - minder - mindest
다음은 비교급과 최상급에서 변모음하거나 자음이 탈락하는 등의 불규칙 변화를 하는 것들이다.
gross - grösser - grösst
hoch - höher - höchst
nah - näher - nächst
2. 비교의 쓰임
원급비교:so ~ wie ~ : ~처럼 그렇게~
Paul ist so alt wie Peter. (파울은 페터만큼 나이들었다. = 둘의 나이가 같다)
Paul ist nicht so nett wie Peter.
Berlin ist eine so wichtige Stadt wie Bonn.
3. 비교급의 용법
비교급 + als : ~보다 더~한
여기서 als는 영어의 than 처럼 비교를 표현하는 "~보다" 의미로 쓰였고 비교급과 함께 쓰인다.
Paul ist älter als Karl. (파울은 칼보다 나이가 많다)
Bonn ist weniger wichtig als Berlin. (본은 베를린보다 덜 중요하다)
이와는 별도로 특정한 비교 대상이 없이 비교급을 쓰는 수가 있는데 이 때는 "(정도가) 보통보다 더하다"는 뜻이다.
Sie ist eine ältere Frau. (상당히 나이를 먹은 부인)
Sie ist eine alte Frau. (늙은 부인)
Rothenburg ist eine grossere Stadt. (상당히 큰 도시)
Berlin ist eine grosse Stadt. (대도시)
je + 비교급, desto(um so) + 비교급 : "∼할수록 점점 더 ∼하다"
여기서는 동사의 위치가 중요한데, je + 비교급 절은 부문장으로 보고 동사를 후치시킨다. 또 desto는 부사이기 때문에 주절의 주어와 동사는 자리가 바뀐다.
Je länger eine reise ist, desto teuerer ist sie. (여행이 길수록 비용이 많이 든다.)
Je mehr ich arbeite, um so müder bin ich abends. (일을 많이 할수록 저녁에 더 피곤하다.)
Die Zeit ist knapp, um so besser muss man sie nutzen. (시간이 빠듯하니 그럴수록 시간을 잘 이용해야 한다.)
한 대상의 두 가지 성질을 비교할 때는 다음과 같이 "mehr -- als"나 "eher -- als" 구문을 쓴다.
Er ist mehr begabt als fleissig.
(그는 부지런하다기 보다는 오히려 재능있는 사람이다.)
Er war eher traurig als ärgerlich.
(그는 화가 나기 보다는 오히려 슬펐다.)
3. 최상급의 용법
독일어의 최상급은 다음 예문과 같이 두 가지 형식이 있다. 형용사가 명사 앞에서 명사를 꾸미는 경우 "부가적 용법"이라 하고 sein과 같은 연결사와 결합하여 술어의 역할을 할 때는 "술어적 용법"이라고 하는데, 최상급의 두 가지 형식은 형용사의 이 두 가지 용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상급의 두 가지 형식
부가적인 용법의 형용사:정관사 + 최상급 + 형용사 어미
술어적인 용법의 형용사나 부사:am + 형용사 + -sten(어미)
Ich habe den schönsten Dom der Welt gesehen.
Mein ältester Sohn studiert in Deutschland.
Marie singt am schönsten in der Klasse.
에서 보는 것처럼 의미적으로 보아 부가적으로도 쓸 수도 있고 술어적으로 쓸 수도 있는 형용사가 있다. 이 경우 물론 두 가지 최상급이 가능하다.
Peter ist gross.
Peter ist ein grosser Student.
Peter ist am grossten.
Peter ist der grosste.
@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h*@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