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를 보면 로마 숫자로 표기 되어 있는 시계를 흔히 볼수 있습니다.
그냥 시계로 보면 대충 알겠지만 실제로 써보라면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은
몇명 없습니다. 쓸곳이 많지는 않기때문에 기본적인 상식만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로마숫자 표기법!
Ⅰ=1, Ⅴ=5, Ⅹ=10, L=50, C=100, D=500, M=1000
이것이 로마 숫자를 나타내는 기준이 되는 숫자 들이다.
간단하지만 로마 숫자를 표기하는데는 몇가지 규칙들이 있다.
첫째, I(1),X(10),C(100),M(1000)만 같은 숫자를 연속해서 나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일한 숫자를 표기할때 3개까지만 중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Ⅴ(5),L(50),D(500)은 절대 연속하여 나올 수 없습니다.
숫자를 표기할 때 만일 4를 표기한다면 Ⅳ이런 식으로 표기를 한다.
로마 숫자를 표기 할때는 숫자가 3개까지만 중복할 수 있기때문에 이런식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둘째, 앞쪽에는 작은 수를 표시하고 뒤쪽에는 큰수를 조합해서 사용할때는 뒤쪽의
큰수에서 앞쪽에 작은 수를 빼준다.
앞에서 4를 표기할때처럼 Ⅳ이렇게 표기하는 것은 Ⅴ(5)에서 Ⅰ(1)를 뺀것이기 때문에
Ⅳ(4)가 만들어 지는 것이다.
셋째, 두번째와 반대로 앞에 큰수를 표시하고 뒤에 작은수를 표시하면 큰수에 작은수를
더한 숫자가 된다.
숫자 6을 표기할때는 Ⅵ(6) 이렇게 표기하는 것처럼 앞에숫자 Ⅴ(5)에다 뒤에숫자 Ⅰ(1)
을 더한 것이기때문에 6이 되는 것이다. 7과 8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기본숫자를 외우고 간단한 법칙만 안다면 로마 숫자를 읽을수 있습니다.
그냥 간단한 상식정도로 알아 두신다면 나중에 혹 써 먹을 곳이 있을 줄 모릅니다.
위에 법칙을 적용하여 간단하게 표기했습니다.
1~10: Ⅰ, Ⅱ, Ⅲ, Ⅳ, Ⅴ, Ⅵ, Ⅶ , Ⅷ ,Ⅸ,Ⅹ
11~20: ⅩⅠ, ⅩⅡ, ⅩⅢ, ⅩⅣ, ⅩⅤ, ⅩⅥ, ⅩⅦ, ⅩⅧ, ⅩⅨ ,ⅩⅩ
21~30: ⅩⅩⅠ, ⅩⅩⅡ, ⅩⅩⅢ, ⅩⅩⅣ, ⅩⅩⅤ, ⅩⅩⅥ, ⅩⅩⅦ, ⅩⅩⅧ, ⅩⅩⅨ ,ⅩⅩⅩ
31~40: ⅩⅩⅩⅠ, ⅩⅩⅩⅡ, ⅩⅩⅢ, ⅩⅩⅩⅣ, ⅩⅩⅩⅤ, ⅩⅩⅩⅥ, ⅩⅩⅩⅦ, ⅩⅩⅩⅧ, ⅩⅩⅩⅨ ,ⅩL
41~50: ⅩLⅠ, ⅩLⅡ, ⅩLⅢ, ⅩLⅣ, ⅩLⅤ, ⅩLⅥ, ⅩLⅦ, ⅩLⅧ, ⅩLⅨ, L
51~60: LⅠ, LⅡ, LⅢ, LⅣ, LⅤ, LⅥ, LⅦ, LⅧ, LⅨ, LⅩ
61~70: LⅩⅠ, LⅩⅡ, LⅩⅢ, LⅩⅣ, LⅩⅤ, LⅩⅥ, LⅩⅦ, LⅩⅧ, LⅩⅨ, LⅩⅩ,
71~80: LⅩⅩⅠ, LⅩⅩⅡ, LⅩⅩⅢ, LⅩⅩⅣ, LⅩⅩⅤ, LⅩⅩⅥ, LⅩⅩⅦ, LⅩⅩⅧ, LⅩⅩⅨ, LⅩⅩⅩ
81~90: LⅩⅩⅩⅠ, LⅩⅩⅩⅡ, LⅩⅩⅩⅢ, LⅩⅩⅩⅣ, LⅩⅩⅩⅤ, LⅩⅩⅩⅥ, LⅩⅩⅩⅦ, LⅩⅩⅩⅧ, LⅩⅩⅩⅨ, ⅩC
91~100: ⅩCⅠ, ⅩCⅡ, ⅩCⅢ, ⅩCⅣ, ⅩCⅤ, ⅩCⅥ, ⅩCⅦ, ⅩCⅧ, ⅩCⅨ, C
추천도 부탁합니다..
@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h*@4d4e81d3f9219886bcadb3dc9b503f82@